신소재공학과 대학원 연구실 간략 소개 (가나다 순)
교수 | 김동훈 |
---|---|
연구실명 | 산화물 박막 재료 및 소자 연구실(Oxide Thin Films and Devices Lab) |
연구실 연락처 | 031-330-6466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hunslab/home |
연구실 위치 | 용인 캠퍼스 차세대과학관 23707호 |
연구 주제에 대한 간략한 소개 | |
산화물 나노 전자 연구실은 Sputter, PLD, ALD, Spin coater, Dip coater 등을 이용하여 증착된 반도체, 유전체, 자성체, 다강체 박막의 미세구조 및 물성을 연구합니다. 첫번째 연구 분야는 멀티페로익 메모리 소자 개발로써 강자성체와 강유전체를 에피택셜 나노복합체 박막으로 제조하여 계면에서의 응력발생으로 재료에 새로운 특성을 부여하는 "Strain Engineering"입니다. 두번째 연구 분야는 전기 변색 소자개발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디스플레이의 투과도를 조절하여 "차세대 자동차 투명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고자 합니다. 세번째는 기존이 방법과는 다른 본 연구실만의 기술로 금속 나노 입자를 제조하여 나노 크기 규모에서의 광학특성 즉, "Surface Plasmon Resonance"를 연구합니다. 네번째는 one-step sintering으로 ZnO 나노/마이크로 구조체를 합성하여 고성능, 고반응성, 고안정성의 "Photodetector"를 제조하는 연구입니다. 다섯번째는 기존의 고가의 단결정 기판과 brittle한 실리콘 기판에서 제조가 불가능하였던 유연 전자 소자 제조 기술로 저가격의 소금을 이용하는 "신개념 박막 전사 기술 개발"입니다.
|
교수 | 박성 |
---|---|
연구실명 | 전자재료 연구실(Electronic Materials Laboratory)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home.mju.ac.kr/spark |
연구실 연락처 | 031-330-6463 |
연구실 위치 | 용인 캠퍼스 차세대과학관 23733호 |
연구 주제에 대한 간략한 소개 | |
전자재료 연구실에서의 주연구 테마
|
교수 | 박종성 |
---|---|
연구실명 | 에너지변환재료 연구실(Energy Conversion Materials Laboratory, ECML)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ecml |
연구실 연락처 | 031-330-6467 |
연구실 위치 | 용인 캠퍼스 차세대과학관 23711호 |
연구 주제에 대한 간략한 소개 | |
에너지 변환재료 연구실(ECML)에서는 이온전도성을 갖는 고체 전해질을 활용한 다양한 소자와 이를 위한 재료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로 산소 이온 또는 수소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을 이용해 고체 전해질 연료전지 (Solid oxide Fuel Cell, SOFC) 또는 전해전지 (Solid Oxide Electrolysis Cell, SOEC)를 제조하고 이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질, 전극 및 나노 촉매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거나, 수소와 같은 화학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데 활용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수소이온 전도성 세라믹을 전해질로 사용해 메탄등 탄화수소는 물론 에탄올등 액체연료로도 작동하는 연료전지를 개발하고 있으며, 작동온도를 낮춰 내구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응용범위를 확대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교수 | 신찬선 |
---|---|
연구실명 | 재료특성평가 및 모델링 연구실 (Materials Characterization and Modeling Lab., MCML) |
연구실 홈페이지 | |
연구실 연락처 | 031-330-6468 |
연구실 위치 | 용인 캠퍼스 차세대과학관 23712호 |
연구 주제에 대한 간략한 소개 | |
우리 연구실에서는 재료의 기계적 거동에 대한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고방사선, 고온/저온과 같은 극한환경에서 철 및 비철합금의 거동을 SSMT (Small-scale mechanical testing) 방법을 통해 실험적으로 분석하고 Multiscale modeling (MD, DD, FEM)을 통해 시뮬레이션 하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응용연구과제는 1. 핵융합 블랭킷 소재 조사특성 평가 (in-situ nanoindentation), 2. 심해용 저온인성 및 건축용 내화/내진 특수형강 개발 (high/low temperature nanoindentation, MD simulation), 3.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전력반도체 성능향상 (TCAD simulation)이 있습니다. 나노인덴터 등을 이용한 실험과 모델링 방법은 금속 뿐만 아니라 폴리머와 반도체 재료 물성을 분석, 평가하는 등 다방면에 응용 가능합니다.
|
교수 | 윤태광 |
---|---|
연구실명 | 신재생 에너지 및 저장 시스템 (Renewable Energy & Storage System, RESS Lab)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ytk0402.wixsite.com/ress |
연구실 연락처 | 031-330-6462 |
연구실 위치 | 용인 캠퍼스 차세대과학관 23705호 |
연구 주제에 대한 간략한 소개 | |
신재생 에너지 및 저장 시스템 (RESS) 연구실에서는 4차 산업 혁명의 중추 기술인 IOT (사물 인터넷) 기술과 결합하는, 미래지향적인 신재생 에너지, 에너지 저장 시스템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합니다. 첫 번째로, 전기/분석/유-무기 화학 이론 및 기술을 활용하여, 섬유 기반의 Li Ion Batteries, Supercapacitor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두 번째로는, 전기/표면 화학 이론 및 기술을 활용하여, 물 한방울만으로 전력을 생성하는 친환경 에너지 생성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마지막으로는, 다공성 재료 (CNT, graphene, metal-organic framework (MOF)), 고분자 계열 (conductive polymer, conjugated microporous polymer), 금속 산화물 계열 물질의 합성 및 분석 기술들을 기반으로 제작해 나갈 것입니다. 최종적으로는, 신재생 에너지를 통해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발하여, 에너지 생성과 저장이 동시에 가능한 에너지 통합 플랫폼을 개발해 나갈 것입니다.
|
교수 | 임연수 |
---|---|
연구실명 | 나노탄소재료 연구실 (Nano Carbon Material Laboratory, NCML)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home.mju.ac.kr/yslim |
연구실 연락처 | 031-330-6464 |
연구실 위치 | 용인 캠퍼스 차세대과학관 23731호 |
연구 주제에 대한 간략한 소개 | |
나노 탄소재료 연구실(NCML)에서는 탄소나노튜브, 탄소섬유 등의 여러가지 탄소재료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로 탄소제품들의 원료가 되는 핏치 및 흑연을 사용하여 탄소섬유,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제, 탄소나노튜브를 직접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이 되어있으며 이에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습니다. 탄소섬유나 탄소나노튜브 이외에도 활성탄, 니들코크, 카본블랙 등의 연구가 가능하며 다양한 탄소재료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교수 | 조성용 |
---|---|
연구실명 | 나노재료 및 소자 연구실 (Nanomaterials and devices laboratory, NMDL)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nmdl.mju.ac.kr |
연구실 연락처 | 031-330-6485 |
연구실 위치 | 용인 캠퍼스 차세대과학관 23725호 |
연구 주제에 대한 간략한 소개 | |
나노재료 및 소자 연구실(NMDL)에서는 나노재료를 합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실제 소자를 제작하며 성능을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글로브박스(glove box)를 통해 불활성 분위기 안에서 매우 작은 양자점을 스핀코팅하여 박막 형태로 제작하고, 최종적으로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등의 소자를 만들어 평가하는 것을 주 연구 주제로 삼고 있습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중의 하나로써 주목받는 양자점 LED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하 이동층을 새로 개발하고 이를 소자의 성능을 통해 평가하는 연구를 하고 있으며, 실제 LED 소자의 밝기와 전류 및 전압 특성에 대해서 파악하게 됩니다. 박막 및 디스플레이 재료, 소자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연구실 홈페이지를 참고하십시오.
|